2024년 12월 3일의 계엄은 이전부터 서서히 변화해온 한국의 정치 상황을 수면 위로 드러낸 사건이자 이후로 급변한 사회 상황을 촉발한 사건이다. 민주 사회에서 명시적으로, 암묵적으로 합의되어 왔던 상호 신뢰의 규칙들이 손쓸 새 없이 허물어지는 모습을 모두가 지켜보고 있다. 그러니 계엄은 그 자체의 실패와 관계없이, 하나의 정치적 일탈을 넘어서 어두운 시대의 시작점이 되는 중이다. 한국은 지금 어디로 쓸려가고 있는 것일까?
이 책을 읽자니 지금의 한국이 어느 지점에 서 있는지 조금 선명하게, 그리고 무섭게 보인다. 내전, 정치적 폭력 전문가인 저자 바버라 F. 월터는 현재 세계의 내전들에 대해 설명한다. 최근 20년간 전 세계에서 발발한 내전은 그 이전에 비해 두 배가량 늘었다. 그는 다양한 국가의 사례들을 통해 내전의 징조와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분석하고 오늘날의 내전이 이전과 어떤 다른 양상을 띄는지도 말한다. 한국의 사례를 직접적으로 다루진 않지만 저자의 분석은 한국에도 들어맞고, 어떤 특징과 사례들은 놀라울 만큼 일치한다.
특수하다고 여긴 한국의 현 상황이 세계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현상들과 같은 궤적을 그리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이것이 한두 국가의 예외적 상황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흐름이라는 사실에 아연해진다. 우리는 이 흐름을 끊어낼 수 있을까? 맞이할 국면마다 현명함을 선택해야만 파국적인 결말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 이 책은 책임 있는 모두의 손에 쥐어져 있어야 한다. - 사회과학 MD 김경영
애덤 폭스는 카펫을 젖히고 바닥 문을 열었다.
내전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은 파벌화다. 시민들이 종족이나 종교, 지리적 구분을 바탕으로 집단을 형성하고, 정당들이 약탈적으로 바뀌어 경쟁자를 배제하고 주로 자신과 지지자들에게 유리한 정책을 실행할 때 파벌화가 완성된다. 그리고 소셜 미디어만큼 파벌화를 부추기고 가속화하는 것은 없다. - 26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