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더블린 사람들』은 어떻게 보아도 접근이 어렵다는 인상은 들지 않으며, 오히려 더블린이라는 도시의 구석구석을 묘사한 전형적인 자연주의 소설처럼 보인다. 여기서 『더블린 사람들』이 거대한 조이스의 세계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인지, 『율리시스』라는 대작의 맹아를 품은 습작인지 아니면 ‘순수의 시대’를 대변하는 작품인지를 세밀하게 따져보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오히려 제임스 조이스라는 거창한 이름의 압박을 잠시 접어두고 이 단편집을 따라 20세기 초반의 더블린이라는 음울하고도 매력적인 도시를 여행해보는 길을 택하는 것이 어떨까.
사실 『더블린 사람들』은 어떻게 보아도 접근이 어렵다는 인상은 들지 않으며, 오히려 더블린이라는 도시의 구석구석을 묘사한 전형적인 자연주의 소설처럼 보인다. 여기서 『더블린 사람들』이 거대한 조이스의 세계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인지, 『율리시스』라는 대작의 맹아를 품은 습작인지 아니면 ‘순수의 시대’를 대변하는 작품인지를 세밀하게 따져보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오히려 제임스 조이스라는 거창한 이름의 압박을 잠시 접어두고 이 단편집을 따라 20세기 초반의 더블린이라는 음울하고도 매력적인 도시를 여행해보는 길을 택하는 것이 어떨까.
역사적 격변의 순간에, 혹은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사람들은 각기 어떤 선택을 하는가, 억압자 혹은 피억압자이던 사람들은 혁명의 순간에 제 위치를 어떻게 의식하며 또 어떤 행태를 보이는가, 위기의 순간에 우애나 애정은 어떻게 변하고 또 어떻게 지켜지는가, 인간의 미덕과 사악함은 어떤 상황에서 발휘되는가, 삶의 가치란 어떻게 결정되는가.
작가로서, 또 중년 남자로서, 여러모로 ‘격변’과 ‘위기’에 처한 디킨스는 『두 도시 이야기』를 통해 위기에 처한 개개인이 어떻게 하면 가치있게, 인간답게 살아남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자신의 위기를 성찰할 기회를 얻었을 것이다. 이 소설이 디킨스의 작품 중 가장 ‘종교적’이라고 평가받는 것은 바로 이러한 특수함 때문이 아닐까.
역사적 격변의 순간에, 혹은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사람들은 각기 어떤 선택을 하는가, 억압자 혹은 피억압자이던 사람들은 혁명의 순간에 제 위치를 어떻게 의식하며 또 어떤 행태를 보이는가, 위기의 순간에 우애나 애정은 어떻게 변하고 또 어떻게 지켜지는가, 인간의 미덕과 사악함은 어떤 상황에서 발휘되는가, 삶의 가치란 어떻게 결정되는가.
작가로서, 또 중년 남자로서, 여러모로 ‘격변’과 ‘위기’에 처한 디킨스는 『두 도시 이야기』를 통해 위기에 처한 개개인이 어떻게 하면 가치있게, 인간답게 살아남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자신의 위기를 성찰할 기회를 얻었을 것이다. 이 소설이 디킨스의 작품 중 가장 ‘종교적’이라고 평가받는 것은 바로 이러한 특수함 때문이 아닐까.
1930년 즈음 이셔우드는 당시 동성애자들의 중심지였던 베를린으로 옮겨가 바이마르 공화국 말기를 이방인으로서 관찰한다. 그 경험은 일련의 소설들이 됐고, 후에 『베를린 이야기』로 묶인 그 작품들은 위장된 자서전과 시대 다큐멘터리가 결합된 독특한 형식을 보여준다. 가난한 외국인 청년이자 동성애자로서, 나치의 등장 이후 타민족, 동성애자, 사회주의자 등으로 탄압이 확대되는 분위기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명시적으로 드러내지 않으려던 조심성은 외려 관찰자 ‘나’의 독특한 시선을 창조했고, 작품 자체에 넓은 의미의 국외자, 소수자의 감성을 부여하여 그 외연이 보편적으로 확장되는 데 기여했다.
사실 『더블린 사람들』은 어떻게 보아도 접근이 어렵다는 인상은 들지 않으며, 오히려 더블린이라는 도시의 구석구석을 묘사한 전형적인 자연주의 소설처럼 보인다. 여기서 『더블린 사람들』이 거대한 조이스의 세계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인지, 『율리시스』라는 대작의 맹아를 품은 습작인지 아니면 ‘순수의 시대’를 대변하는 작품인지를 세밀하게 따져보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오히려 제임스 조이스라는 거창한 이름의 압박을 잠시 접어두고 이 단편집을 따라 20세기 초반의 더블린이라는 음울하고도 매력적인 도시를 여행해보는 길을 택하는 것이 어떨까.
역사적 격변의 순간에, 혹은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사람들은 각기 어떤 선택을 하는가, 억압자 혹은 피억압자이던 사람들은 혁명의 순간에 제 위치를 어떻게 의식하며 또 어떤 행태를 보이는가, 위기의 순간에 우애나 애정은 어떻게 변하고 또 어떻게 지켜지는가, 인간의 미덕과 사악함은 어떤 상황에서 발휘되는가, 삶의 가치란 어떻게 결정되는가.
작가로서, 또 중년 남자로서, 여러모로 ‘격변’과 ‘위기’에 처한 디킨스는 『두 도시 이야기』를 통해 위기에 처한 개개인이 어떻게 하면 가치있게, 인간답게 살아남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자신의 위기를 성찰할 기회를 얻었을 것이다. 이 소설이 디킨스의 작품 중 가장 ‘종교적’이라고 평가받는 것은 바로 이러한 특수함 때문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