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북펀드는 출판사 요청에 따라 출판사 주관하에 진행됩니다.
매주 돌아오는 월요일…
일요일 밤, 우리 집 풍경은 어떤가요?
일요일 밤이면 직장인 수돌 씨는 침대에 누워 긴 한숨을 몰아쉽니다. 내일이 또 월요일이기 때문이죠. 초등학생 수동이도 마찬가지입니다. 늦은 시간까지 거실 TV가 켜져 있지만 화면을 볼 기운이 없습니다. 내일이 월요일이니까요.
이런 수동이네 풍경이 낯설지 않다면, 마치 우리 집을 보는 것 같다면?
<월요일기>를 만나 보세요.
극심한 ‘월요병’에 시달렸던
작가의 실제 경험이 녹아 있는 이야기
흔히 사용되는 ‘월요병’이라는 단어는 ‘한 주가 시작되는 월요일마다 정신적·육체적 피로나 힘이 없음을 느끼는 증상’을 뜻합니다. 심할 경우는 월요일이 되기 전, 일요일 밤부터 월요일에 대한 부담에 허덕이게 됩니다. 실질적인 치료가 필요한 의학적 질병은 아니지만, 아무것도 아니라고 무시할 수도 없는 증상입니다. 매주 우리가 느끼는 고단함에는 분명한 실체가 있으니까요.
<월요일기>를 쓰고 그린 조윤주 작가 역시 극심한 월요병에 시달린 경험이 있습니다. 힘겹게 월요일 하루를 보낸 뒤, 월요일 저녁마다 자신에게 ‘보상’으로 주었죠. 하지만 ‘좋아하는 음식을 먹는 것만으로는 월요병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월요일이 버거운 우리에게는 정말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어린이도, 어른도 월요일이 힘들어요
조금 다른 일상을 발견할 수 있길
많은 창작 그림책이 그렇듯이 <월요일기>는 어떻게 하면 월요병을 극복할 수 있는지, 정답을 제시하지는 않습니다. 월요병의 증상이 사람마다 다르듯, 그 원인과 해결책도 저마다 다를 테니까요. 다만 이 책은 매주 돌아오는 월요일을 앞두고 숨막혀 하는 사람들, 되는 일 하나 없는 월요일을 겨우겨우 견딘 사람들에게 “지금 그대로 괜찮나요?”라고 진심 어린 질문을 건넵니다.
초등학교 교사이자 양육자인 조윤주 작가는 어른만 월요병에 시달리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들 또한 월요일을 힘들어 한다는 사실을 다년간의 경험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그림책 속에서 수돌 씨와 수동이가 월요병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들만의 방법을 찾아나선 것처럼, 이 책을 본 독자들에게도 긍정적인 기운이 생기길, 그 기운이 일상의 변화로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습니다.
일요일 저녁입니다.
수돌 씨는 한숨을 푹 쉬었습니다.
“내일이 또 월요일이네.”
- 8-9쪽
둘의 유일한 낙은 월요일 저녁에 단골 초밥집에서 좋아하는 음식을 먹는 것이었어요.
“역시 이 집 초밥 맛은 최고야.”
“아빠! 이 집은 우동 맛집이죠!”
그렇게 일주일을 보낼 힘을 얻었어요.
- 16쪽
이제 어떻게 일주일을 보낼 힘을 얻을 수 있을까요?
당황한 둘은 새로운 초밥집을 찾아다니기 시작했어요.
- 21쪽
“아빠, 그런데 정말 이 방법이 괜찮을까요?”
“괜찮지 않을까, 하루쯤은?”
- 37쪽
1) 15,120원 펀딩
- <월요일기> 작가 친필 사인본 도서 1부
- 후원자 명단 엽서 삽지
- 펀딩 달성 단계별 추가 마일리지 적립
2) 16,120원 펀딩
- <월요일기> 작가 친필 사인본 도서 1부
- 월요일기장
- 후원자 명단 엽서 삽지
- 펀딩 달성 단계별 추가 마일리지 적립
월요일기장
128*182mm, 무선제본 노트, 24p
※ 알라딘 북펀드 굿즈가 포함된 구성에 펀딩하셔야 받을 수 있습니다.
월요일기장
128*182mm, 무선제본 노트, 24p
※ 알라딘 북펀드 굿즈가 포함된 구성에 펀딩하셔야 받을 수 있습니다.